본문 바로가기
상식을 늘리자 !/맞춤법 상식

초등 국어 교과서 맞춤법 기준 따라잡기 (2025 학부모 & 초등생용 가이드)

by 상식왕 주인장 2025. 6. 6.
반응형

 

초등 국어 교과서 맞춤법 기준 따라잡기

글씨를 예쁘게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맞춤법을 정확히 쓰는 것은 더 중요한 기본기다. 초등 국어 교과서는 아이들이 국어의 바른 뼈대를 익히는 첫 출발점. 2025년 교육과정 기준에 따라, 꼭 알고 써야 할 맞춤법을 실생활 예문과 함께 정리했다.

📘 초등 교과서 기준 핵심 맞춤법 10가지

1. 안되 → ❌ / 안 돼 → ⭕
예: 지금은 안 돼. 나중에 해!

2. 할수있다 → ❌ / 할 수 있다 → ⭕
예: 나는 뭐든지 할 수 있어.

3. 되요 → ❌ / 돼요 → ⭕
예: 그렇게 해도 돼요?

4. 왠지 → ⭕
예: 왠지 모르게 슬픈 기분이 들어.

5. 같이하다 → ❌ / 같이 하다 → ⭕
예: 친구랑 같이 하다 보면 쉬워져.

6. 못하다 vs 못 하다 → 상황 구별
예: 너무 어려워서 못 했어 (부정) 예: 발표를 못하다니, 믿을 수 없어 (실력 부족)

7. 수밖에 → 띄어쓰기 주의!
예: 그렇게 할 수밖에 없어.

8. 않다 → 부정 표현
예: 나는 포기하지 않는다.

9. 봤다 → 보았다 (표준형 권장)
예: 나는 그 장면을 보았어.

10. 예요 / 에요 구별
예: 고양이예요 (받침 없음) 예: 학생이에요 (받침 있음)

🧒 교과서 예문처럼 써보자!

  • 오늘은 학교에 일찍 갔어요.
  • 친구와 같이 공부했어요.
  • 나는 할 수 있다고 믿어요.
  • 이건 제 선생님이에요.

✅ 학부모 체크리스트

  • 글을 읽고 따라 쓰는 연습을 매일 조금씩!
  • 한 문장을 쓰더라도 띄어쓰기와 끝맺음 확인하기
  • 아이 글을 쓸 때는 말투 그대로 쓰기보다 교과서 어법 따라가기
  • 자주 쓰는 단어는 ‘받아쓰기’ 방식으로 반복
⚠️ 주의:
초등 시기의 맞춤법 습관은 평생을 좌우합니다. 지금부터 익히는 바른 표현이 국어 실력의 바탕이 됩니다. 부모도 함께, 교과서 문장을 반복해 주세요.

#초등맞춤법 #국어교과서 #문장쓰기기초 #받아쓰기 #국어공부 #학부모가이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