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혹시 문장을 쓰다가 ‘하였읍니다’라는 표현을 본 적 있으신가요?
뭔가 옛스럽고, 어딘가 어색한 느낌이 들지 않으셨나요?
이 표현은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과거 문서나 연설문에서 접했을 수 있는데, 현재 기준으로는 **틀린 표현**이라는 점,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하였읍니다’가 왜 잘못된 표현인지, 그리고 어떤 표현이 맞는지 깔끔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바른 맞춤법을 지켜야 하는 이유와 함께 실수하기 쉬운 표현들까지 꼼꼼히 알려드릴게요.
“하였읍니다? 지금도 그렇게 쓰시나요? 틀렸습니다!”
“공식 문서에서 이 표현 쓰면, 문법 오류 바로 지적받습니다.”
“옛날 말투를 지금 쓰면 어색하고 부정확한 표현이 됩니다.”
📋 목차
‘하였읍니다’는 왜 틀렸는가
‘하였읍니다’라는 표현은 과거 공문서에서 자주 사용되었지만, 현재 기준에서는 명백한 오류다.
이는 1988년 한글 맞춤법 개정 전까지 쓰이던 비표준 종결어미였으며, 현재는 표준어가 아니다.
종결형은 ‘습니다’만이 표준이며, ‘읍니다’는 문법상 폐기되었다.
‘하였습니다’가 표준인 이유
표준어 규정에 따르면, 동사의 종결 어미는 ‘습니다’가 원칙이다.
‘하였다’ + ‘습니다’가 결합해 ‘하였습니다’라는 형태가 된다.
즉, 격식 있는 문장에서는 무조건 ‘하였습니다’를 써야 맞다.
1988년 국어 문법 개정의 핵심
1988년 국립국어원은 어문 규범을 대대적으로 정비하면서 비표준어 정리를 시행했다.
이때 ‘읍니다’는 공식적으로 사라지고 ‘습니다’ 체로 통일되었다.
이후 교육기관, 언론사, 행정문서에서 일괄적으로 ‘하였습니다’가 쓰이기 시작했다.
과거 표현 | 현재 표준어 |
---|---|
하였읍니다 | 하였습니다 |
갔읍니다 | 갔습니다 |
자주 틀리는 유사 표현
- 갔읍니다 ❌ → 갔습니다 ✅
- 하였읍니다 ❌ → 하였습니다 ✅
- 알았읍니다 ❌ → 알았습니다 ✅
⚠️ 공문서나 리포트에서 ‘읍니다’ 표현을 사용하면 즉시 감점 또는 오류 처리된다.
공문서, 리포트에서 조심해야 할 문장
공공기관, 기업 보고서, 학교 레포트 등 공식 문서에서는 반드시 표준어만 사용해야 한다.
‘하였읍니다’ 같은 표현은 시대착오적일 뿐 아니라 문법 오류로 간주된다.
무심코 썼다간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정확한 표현으로 바꾸는 실전 팁
- 과거 표현 의심되면 국립국어원 웹사이트 검색
- ‘읍니다’ 형태 보이면 무조건 ‘습니다’로 수정
- 문장 끝맺음은 무조건 현대 표준어에 맞출 것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하였읍니다'를 써도 의미 전달이 되는데 왜 틀린가요?
A1. 의미 전달은 되지만, 표준어가 아니기 때문에 맞춤법 오류로 간주된다.
Q2. 뉴스 기사에서 ‘하였읍니다’가 쓰인 걸 본 적 있어요.
A2. 오래된 기사거나 의도적으로 시대적 표현을 재현한 경우일 수 있다.
Q3. SNS에서는 자유롭게 써도 되나요?
A3. 비공식적인 글에서는 사용해도 괜찮지만, 여전히 비표준 표현이다.
Q4. 맞춤법 검사기는 이를 어떻게 인식하나요?
A4. 대부분의 맞춤법 검사기는 ‘하였읍니다’를 오류로 표시한다.
Q5. 공식 이메일에서 사용하면 어떻게 되나요?
A5. 매우 부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으며 문서 품질에 타격을 준다.
Q6. 왜 아직도 이 표현을 쓰는 사람들이 있나요?
A6. 오래된 교육 방식이나 습관 때문이며, 지금은 반드시 수정해야 한다.
결론
‘하였읍니다’는 더 이상 쓸 수 없는 표현이다.
1988년 이후 모든 문법 기준에서 배제된 비표준어이며, 현재는 ‘하였습니다’만이 올바른 표현이다.
공식적인 글쓰기에서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며, 실수를 줄이기 위해 자주 맞춤법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자.
👉 더 많은 정보는 한글 맞춤법 위키백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식을 늘리자 ! > 맞춤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에서 틀리는 맞춤법 - 완벽 가이드 2025 (1) | 2025.06.25 |
---|---|
형용사/동사 구분에서 나오는 맞춤법 실수 - 완벽 가이드 2025 (2) | 2025.06.24 |
시험지 채점에서 자주 감점되는 맞춤법 (2025 수험생 필독) (0) | 2025.06.22 |
AI도 틀리는 한국어 맞춤법 (2025 기준 실수 사례 정리) (0) | 2025.06.21 |
‘될’과 ‘될지’는 다르다 (2025 문법 정확히 알기) (1)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