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을 늘리자 !/맞춤법 상식

카카오톡에서 틀리는 맞춤법 - 완벽 가이드 2025

by 상식왕 주인장 2025. 6. 25.
반응형
카카오톡에서 틀리는 맞춤법 - 완벽 가이드 2025

친구와 톡을 나누다가 “아 이거 맞춤법 맞나?” 고민한 적 있지?
카카오톡에서는 빠르게 대화를 주고받다 보니 의외로 맞춤법 실수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음성 언어를 그대로 글로 옮기거나, 말버릇처럼 쓰는 표현들에서 오류가 많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카카오톡에서 특히 많이 틀리는 맞춤법들을 정리해봤다.
너도 모르게 틀리고 있을 수 있는 표현들, 지금부터 확인해보자.

“안되요? 안 돼요? 카톡에서 제일 많이 틀린 표현!”
“왠지, 웬지 구분 못 하는 사람 생각보다 많다.”
“됐고요? 되셨고요? 자주 틀리면 습관 된다!”

1. 안되요 ❌ → 안 돼요 ✅

‘안되요’는 틀린 표현이다.
‘안’은 부정 부사이고, ‘되다’는 동사니까 반드시 **띄어 써야 한다.**

예:
❌ 그거 안되요
✅ 그거 안 돼요
✅ 그렇게 하면 안 돼요

2. 왠지 ❌ → 웬지 ✅ (또는 그 반대)

'왠지'는 ‘왜인지’의 줄임말이다. 그래서 추측이나 감정 표현에 쓰인다.
반면 ‘웬’은 ‘어떤’의 의미다.

예:
✅ 왠지 기분이 이상해
✅ 웬 떡이냐!

3. 되요 ❌ → 돼요 ✅

‘되요’는 없는 단어다. ‘되다’의 활용형은 ‘돼요’로 써야 맞다.
‘되어요’ → ‘돼요’로 축약되는 것이다.

예:
❌ 그거 되요?
✅ 그거 돼요?

자주 틀리는 표현 올바른 표현
안되요안 돼요
되요돼요
왠지(오용)웬지 / 왠지 (상황에 따라)

4. 했는데요 vs 했는 데요

‘했는데요’가 올바른 표현이다. '는데'는 연결 어미로 쓰이며, 의미적으로도 하나의 단어다.
‘했는 데요’는 공간적 의미인 ‘데’(곳)와 혼동한 오용이다.

예:
❌ 했는 데요
✅ 했는데요

5. 어의 없다 ❌ → 어이 없다 ✅

‘어이’는 말문이 막힐 정도로 당황스러움을 표현하는 말이다.
‘어의’는 한자어로 '의사'나 '생각'을 의미할 수 있지만, **완전히 다른 단어다.**

예:
❌ 진짜 어의 없다
✅ 진짜 어이 없다

6. 자주 틀리는 채팅 맞춤법 총정리

  • 됐어요 ❌ → 돼었어요 ❌ → ✅ 됐어요 (되었어요의 줄임말)
  • 같이가요 → ✅ 함께 가요 (격식 있는 상황에선 이 표현이 좋다)
  • 머라구요 ❌ → 뭐라고요 ✅

⚠️ 카카오톡도 공식 문서처럼 맞춤법을 지키면 신뢰도가 올라간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톡에서 맞춤법 틀려도 되지 않나요?

A1. 괜찮지만 습관되면 글쓰기 능력에 악영향을 준다.

Q2. 오히려 일부러 틀리게 쓰는 건 괜찮지 않나요?

A2. 유머나 컨셉이라면 상관없지만, 정중한 상황에서는 지양해야 한다.

Q3. 맞춤법 검사기 쓰면 다 걸러지나요?

A3. 일부 구어체 표현은 검사기에서도 감지하지 못한다. 스스로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론

카카오톡에서도 맞춤법은 중요하다.
습관처럼 쓰던 표현이 잘못된 말일 수 있고, 그 작은 실수가 글의 신뢰도와 인상을 좌우한다.
오늘 소개한 틀리기 쉬운 표현들을 기억하고, 올바른 글쓰기를 실천해보자.

👉 더 많은 예시는 국립국어원 맞춤법 안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