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을 늘리자 !/맞춤법 상식

"잊다"와 "잃다" 완전 다른 단어 - 완벽 가이드 2025

by 상식왕 주인장 2025. 6. 27.
반응형
"잊다"와 "잃다" 완전 다른 단어 - 완벽 가이드 2025

“그거 잊어버렸어”와 “지갑을 잃어버렸어”
얼핏 보면 비슷하지만, 이 두 문장에서 핵심 동사는 완전히 다르다.

한국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잊다’‘잃다’다.
오늘은 이 두 단어의 차이를 명확하게 짚고, 헷갈리지 않도록 확실하게 정리해보자.

“잊어버린 건 기억이고, 잃어버린 건 물건이다!”
“잊다 vs 잃다, 헷갈리는 순간 바로 문장 오류 된다.”
“발음이 비슷하다고 의미도 비슷한 건 아니다.”

1. 잊다의 정확한 의미

‘잊다’는 기억에서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기억, 감정, 사실, 약속 등에 사용된다.

예:
✅ 생일을 잊었어
✅ 그 사람을 잊지 못해
✅ 숙제를 잊어버렸어

물건에는 절대 쓰이지 않는다.

2. 잃다의 정확한 의미

‘잃다’는 소유하고 있던 무언가를 잃어버리거나 놓친 경우에 쓴다.
주로 물건, 사람, 시간, 기회 등에 사용된다.

예:
✅ 지갑을 잃어버렸어
✅ 돈을 잃다
✅ 신뢰를 잃었다
✅ 기회를 잃었다

3. 실제 헷갈리는 예문 정리

틀린 예 올바른 표현
지갑을 잊어버렸어요지갑을 잃어버렸어요
그날을 잃었어요그날을 잊었어요
비밀번호를 잃었어요비밀번호를 잊었어요

4. 쓰기 시험에서 감점되는 유형

TOPIK이나 각종 국어 시험, 공시 시험 등에서는 이 두 단어를 바꾸어 쓰면 감점된다.
특히 쓰기 영역에서 문맥상 오류로 판단되어 문법점수가 깎일 수 있다.

예:
❌ 중요한 서류를 잊어버렸습니다 → 물리적인 대상이므로 ‘잃어버렸다’가 맞음

5. 잊다/잃다 쉽게 구분하는 방법

  • ‘잊다’는 기억 관련: 머릿속, 감정, 약속
  • ‘잃다’는 소유물 관련: 물건, 돈, 사람
  • 문장에 '기억', '생각', '마음'이 들어가면 ‘잊다’일 확률 높음

6. 유사 발음 단어와 비교 정리

  • 잊다 vs 잃다 → 기억 vs 소유
  • 잇다(잇는 것) → 연결하다
  • 읽다 → 책을 읽다 (발음 헷갈림 주의)

⚠️ 이 두 단어는 의미 혼동이 바로 문장 오류로 이어진다. 주의해서 써야 한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잊다’와 ‘잃다’의 가장 큰 차이는 뭔가요?

A1. 기억을 말할 땐 ‘잊다’, 물건을 말할 땐 ‘잃다’를 쓴다.

Q2. ‘잊어버리다’와 ‘잊다’는 같은 말인가요?

A2. ‘잊다’의 강조형이 ‘잊어버리다’다. 둘 다 맞는 표현이다.

Q3. 구어체에서는 혼용해도 되지 않나요?

A3. 말에서는 그럴 수 있지만, 글에서는 반드시 구분해야 한다.

결론

‘잊다’와 ‘잃다’는 발음만 비슷할 뿐, 의미와 문맥에서 완전히 다른 동사다.
하나는 기억, 하나는 소유에 관한 것이며 바르게 써야 문장이 정확해진다.
문법적 신뢰도를 높이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 둘의 차이는 반드시 정확히 알고 넘어가야 한다.

👉 공식 정의와 예시는 국립국어원 사전에서 확인 가능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