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을 늘리자 !/맞춤법 상식

SNS에서 자주 틀리는 맞춤법 TOP 10 (2025 최신 정리)

by 상식왕 주인장 2025. 5. 14.
반응형

 

SNS는 속도와 감성의 플랫폼이다. 그러다 보니 맞춤법은 뒷전이고 말 되는 대로 쓰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그게 습관이 되면 블로그나 이력서, 심지어 회사 메일까지 영향을 준다는 것. 자주 쓰는 표현일수록 더 잘 알아둬야 한다.

오늘은 인스타, X(구 트위터), 페북, 블로그 등 실제로 자주 틀리는 맞춤법 표현 10가지를 예시 중심으로 정리했다. 당장 피드 돌려보면 하나쯤은 보일 거다.

1. 왠지 ❌ vs 웬지 ⭕

‘왠지’는 ‘왜인지’의 줄임말로 맞는 표현. ‘웬지’는 존재하지도 않는 단어다. 예: 왠지 오늘은 기분이 이상해.

2. 안돼 ❌ vs 안 돼 ⭕

‘안돼’는 동사형태일 때 붙이고, ‘안 돼’는 문장 중 부정일 땐 띄어야 한다. 대부분 ‘안 돼’가 맞는 거다. 예: 그렇게 하면 진짜 안 돼!

3. 됬다 ❌ vs 됐다 ⭕

‘됐’은 ‘되었다’의 줄임말. 무조건 ㅐ 써야 한다. 예: 드디어 일이 다 끝났다. 됐다!

4. 데 vs 대

‘데’는 장소나 상황, ‘대’는 들은 말 인용. 예: 그 사람이 그렇게 말했대.

5. 않이 ❌ vs 아니 ⭕

‘않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부정은 항상 ‘아니’로 써야 자연스럽다. 예: 그건 아니라고 생각해.

6. 에요 ❌ vs 예요 ⭕

받침 없으면 ‘예요’가 맞다. ‘에요’는 대부분 잘못된 줄임말이다. 예: 이건 선물이에요.

7. 어의 ❌ vs 어이 ⭕

놀람, 당황의 표현은 ‘어이’다. ‘어의’는 왕 옆 의사다. 예: 어이없다 진짜ㅋㅋ

8. 되요 ❌ vs 돼요 ⭕

‘되다 + 어요’의 줄임말은 ‘돼요’다. ‘되요’는 발음은 되지만 철자는 틀렸다. 예: 그거 지금 해도 돼요?

9. 않되 ❌ vs 안 돼 ⭕

부정형은 ‘안 되’ 또는 ‘안 돼’ 형태로 써야 한다. ‘않’은 ‘않다’로 부정 동사다. 오용 금지. 예: 이건 절대 안 돼!

10. 몰랏다 ❌ vs 몰랐다 ⭕

‘ㅅ’ 받침은 대부분 오타. ‘모르다’의 과거형은 ‘몰랐다’가 맞다. 예: 그건 진짜 몰랐다...

⚠️ 주의: 짧은 글, 빠른 피드에서도 글 실력이 드러난다. 자주 쓰는 표현일수록 더 조심해서 써야 한다. 습관은 SNS에서 시작되고, 틀린 글은 어디든 퍼진다.

#맞춤법 #SNS맞춤법 #자주틀리는표현 #인스타글쓰기 #헷갈리는표현 #되요아님돼요

반응형